<1> #include
외부에 선언된 함수나 상수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 헤더파일의 내용을 현재파일에 포함할때 사용
#define 은 함수나 상수를 단순화해주는 매크로를 정의할 때 사용
<2> iostream
input, output의 약자이며 라이브러리이다.
C 프로그래밍 언어의 stdio.h와 같은 역할을 한다.
<3> namespace
c++프로그램을 작성할때 발생하는 이름에 대한 충돌을 방지
같은 문법이 두개이면 컴퓨터는 컴파일 에러(컴파일단계에서 문법에 오류가 있을 경우 빌드하지 못할때)를 유발한다.
c++프로그램 표준구성 요소인 클래스, 함수, 변수 등은 std라는 이름공간에 저장되어있다.
따라서 c++프로그램에서 표준헤더파일인 iostream 내의 정의를 사용하려면 다음과같이 사용해야한다.
1 | using namespace std; 라는 명령문을 추가 |
2 | std::cout<<TEXT; 처럼 접두어(std::)를 붙여준다. |
<4> ::
네임스페이스 연산자 혹은 범위연산자라고 한다.
특정 이름 공간에 있는 어떠한 것을 따로 가져다 쓸때 활용
<5> void
반환 타입이라는 놈인데 만약 아무것도 반환할것이 없더라도 void라는 키워드로 명시해줘야 한다.
<6> main 함수
C++프로그램은 가장 먼저 main함수를 찾고 , 그곳에서부터 실행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모든 C++프로그램은 반드시 하나의 main함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진입점함수라고도 한다.
소괄호()란 함수가 시작할때 필요한게 있는지 필요한게 있으면 전달해 주는 공간이다.
중괄호{}는 함수의 범위를 중괄호로 표현한다.
<7>cout
cout는 함수가 아니고 객체이다. 콘솔 아웃의 약자로다가 콘솔창을 대상으로 출력할 때 사용된다.
<< 이건 cout 만나면서 자기 뒤에 있는 어떠한 것들을 출력하겠다 라는 연산자로 바뀜.
<8>endl
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