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할당이란? 데이터 영역과 스택 영역에 할당되는 메모리의 크기는 컴파일 타임(compile time)에 미리 결정됩니다. 하지만 힙 영역의 크기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인 런 타임(run time)에 사용자가 직접 결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런 타임에 메모리를 할당받는 것을 메모리의 동적 할당(dynamic allocation)이라고 합니다. malloc() 함수 #include void *malloc(size_t size); 할당하고자하는 메모리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전달받는다. 함수가 실행되면 메모리공간을 찾는다. 이렇게 찾은 메모리공간의 첫번째 바이트 공간을 가리키는 주솟값을 반환한다. 공간을 찾지 못할 경우 널포인터를 반환한다. 주솟값을 반환받기 떄문에 메모리공간에 접근하려면 포인터를 사용해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