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OM (read only memory) 읽기전용 메모리
한 번 쓰고 나면 여러번 읽을 수 있는 메모리다. 가장 초기의 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었으나 지울 수 있는 메모리로 점차 발전해 나갔다. 컴퓨터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가 담겨있다. 그리고 그 정보들을 기억하기 위해 다른 정보들은 기억하지 않는다.
단점으로만 보이는 특성 외에, 전력 공급과 무관하게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이라는 강력한 특징이 있어서, 모든 종류의 기계에 쓰인다. ROM이 없다면 전기 아깝다고 전기밥솥 전기코드를 뽑는 순간 당신의 전기밥솥은 먹통이 된다. 당장 전기밥솥도 일종의 프로그램된 로봇이기 때문에 한번 데이터가 날아가면 코드를 연결해도 전기가 흐르는 고철덩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된다.
보통은 컴퓨터의 바이오스나 게임기에 들어가는 게임 패키지 등 광범위한 분야에 쓰인다.
대표적으로 USB 메모리,SSD로 대표되는 플래시 메모리가 롬라이터 없이 제한된 횟수 만큼 재기록이 가능한 ROM이긴 하다.
<출처> 나무위키 https://namu.wiki/w/ROM
<2> 블록장치, 블록 디바이스
- 블록 형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장치
- 블록 장치는 HDD/CD-ROM드라이브/메모리 영역 등의 주소 지정 가능한 기기
- 랜덤 액세스와 탐색이 가능한 일이 많아 일반적으로 버퍼를 사용한 입출력 수행
- OS는 개별 입출력용으로 1개의 블록을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확보함
- 프로그램이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면 시스템은 적당한 버퍼를 준비하여 데이터 유지
- 버퍼가 차면 데이터를 전송한 후 버퍼를 비움
- 기록 밀도와 속도를 맞바꾼 기억장치이다.
- 디스크는 바이트 단위로 주소를 지정해 읽는게 아닌 블록 단위로 주소를 지정해 읽는다.
- 디스크 드라이브를 말한다.
<출처> 제타위키 https://zetawiki.com/wiki/%EB%B8%94%EB%A1%9D_%EC%9E%A5%EC%B9%98
<3> 플래시 메모리, SSD(고체상태메모리)_Solid state drive 와 HDD 차이
SSD는 가장 최근에 나타난 EEPROM 유형의 매체이다. SSD는 더 빠르고, 더 가볍고, 내구성이 더 뛰어나며, 에너지를 적게 사용합니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드드라이브에서 SSD로 점차 교체되고 있다. |
하드 드라이브느 같은 용량의 스토리지를 기준으로 대개 SSD보다 덜 비싸다. 현재 HDD는 SSD보다 더 많은 스토리지 공간을 지원합니다. |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을 만들어내는 회로 (0) | 2021.09.14 |
---|---|
8비트와 16비트 (0) | 2021.09.14 |
자료형의 크기 및 숫자 표현 범위 (0) | 2021.09.08 |
부동소수점 이해하기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