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카드 (NIC)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들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들어온 데이터를 CPU로 전달해 주는 역할. 허브(hub) 구멍이 몇개 있는지에 따라 몇포트 허브인지가 결정된다.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 같은 허브에 연결된 피씨 끼리는 통신이 가능한데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PC들은 같은 콜리젼 도메인에 있다. 허브에 붙어있는 하나의 PC가 통신을 하게 되면 다른 모든 PC는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허브에 붙어있는 하나의 PC에서 콜리젼이 발생하면 모든 PC가 영향을 받는다. 허브를 계속 연결해 나갈 수 록 콜리젼 도메인의 크기는 점점 커지게 된다. (네트워크 규모가 클수록 콜리젼 발생확률이 증가한다) 인텔리전트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