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넷
네트워크를 여러개 묶어놓은 네트워크 연합을 말하고, TCP/IP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인트라넷
인터넷과 똑같아 보이지만 특정 회사 사람들에게만 허가된 사내 네트워크이다.
<3> 엑스트라넷
인트라넷 범위를 협력회사나 고객사까지 확대 한 네트워크이다.
<4> LAN
한정된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사무실 컴퓨터 30대 를 네트워크로 구성한다면, 사무실에 LAN을 구축한다고 한다.)
<5> WAN
멀리 떨어진 곳과의 네트워크 구축
<6> 이더넷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방식, 지금 회사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 우리나라 대부분 이더넷방식을 사용한다.
<7> CSMA/CD
통신하고자 하는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살펴봐서 아무도 통신을 하고 있지 않으면 무조건 자기 데이터를 실어서 잘 보낸 후 잘 갔는지 확인해 보는 방식이다.
<8> 콜리젼
CSMA/CD 방식으로 통신하던 중 데이터들의 충돌
<9> 토큰링
데이터네트워크 2가지 기술(이더넷, 토큰링)중 하나이다.
데이터를 다보내고 나면 옆 PC에 토큰을 건네 준다. 만약 전송할 데이터가 없으면 토큰을 다시 옆PC에 전달하는 방식
(한 네트워크에 토큰은 하나다)
<10> UTP케이블 (Unshield-Twisted-Pair)
요즘 주로 쓰는건 카테고리6 케이블이다. Cat6보다 Cat6a이 성능이 개선된 케이블로 최대 10Gps를 지원한다.
<11> 맥 어드레스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통신은 IP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를 밟는다.
cmd > ipconfig/all 입력해서 나오는 화면의 '물리적인 주소' 가 바로 MAC주소이다.
IP주소가 있어도 통신에서는 MAC주소가 사용되며, 이 주소는 랜카드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이미 고정되어있는 주소이고 전세계에서 유일한 주소이다. 따라서 모든 랜의 디바이스 들은 반드시 유일한 맥 어드레스를 가져야 한다.
이 맥 어드레스는 48비트를 가지지만 너무 길고 복잡해서 16진법으로 나타낸다. 총 12자리 수로 앞 5자리는 제조사를 나타내고, 뒤 6자리는 고유번호를 부여 받는다.
<네트워크 종류>
* PAN ( Personal Area Network )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LAN ( Local Area Network )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 WAN (Wide Ares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 VAN (Value Added Network) : 부가가치 통신망 정보의 축적과 제공, 통신속도와 형식의 변화, 통신경로의 선택 등 여러 종류의 정보서비스가 부가된 통신망.
*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종합정보 통신망(=BISDN) 전화, 팩스, 데이터 통신, 비디오텍스 등 통신관련 서비스를 종합하여 다루는 통합서비스 디지털 통신망. 디지털 전송방식과 광섬유 케이블 사용. 꿈의 통신망
'컴퓨터구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게이트웨이(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 IP클래스, 서브넷마스크 (0) | 2021.09.18 |
---|---|
[네트워크]루핑, 스패틴 트리 알고리즘, 라우터, IP주소, IP주소 클래스 (0) | 2021.09.11 |
[네트워크]랜카드, 허브, 스위치, 브리지, 리피터 (0) | 2021.09.09 |
[네트워크]컴퓨터의 주소 (이진수), DHCP (0) | 2021.09.08 |
[네트워크]NET, PAT, TCP/IP, OSI 7 Layer,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