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트워크 통신방식
유니캐스트 (1대1 통신) |
통신하고자 하는 PC의 주소를 유니캐스트 프레임에 넣어 뿌린다.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들은 일단 이 프레임을 받아드리고, 랜카드에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를한다. 이때, 자신의 맥어드레스와 일치 하지 않는 경우 프레임을 랜카드에서 버린다. 때문에 유니캐스트 방식은 PC들의 CPU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
브로드캐스트 (전부를 대상) |
로컬 랜에 붙어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이다. 상대방의 맥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를 하는데 이게 브로드캐스트다. 프레임을 버리지 않고 CPU에 전달 하기 때문에 성능이 저하된다. |
멀티캐스트 (그룹을 대상) |
보내고자 하는 그룹 멤버들에게만 한번에 보낼 수 있다. 스위치나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기능을 꼭 지원해야만 사용 가능하다. |
<2> OSI 7 Layer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 - |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 - |
Sesseion Layer (세션계층) | - |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 플로컨트롤, 에러복구기능으로 에러복구를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거나 플로를 조절해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TCP , UDP) |
Netwa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레이어5 |
라우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라우팅)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며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준다. 인터넷 전자메일 이안될 경우 ping을 쏴서 확인하고 이상없을 경우 네트워크 계층까지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
Data Link Layer (데이타 링크 계층) | 피지컬 레이어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스위치, 브리지)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 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계층에서 전송되는 단위를 프레임 이라고 부른다. |
Physical Layer (피지컬 계층) |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달/ 단지 전달하는 기능(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 |
<3> TCP/IP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프로토콜이다.
<4> NET, PAT, IP
IP |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하나씩 주어지는 주소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주소를 사용하고, 외부로 나갈때만 공인IP 사용 |
PAT | 동일한 IP주소를 가지고 여러명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포트넘버만 바꾸는 방법 |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 전 세계에 공인주소를 나눠주고 관리해주는 기관 |
'컴퓨터구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게이트웨이(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 IP클래스, 서브넷마스크 (0) | 2021.09.18 |
---|---|
[네트워크]루핑, 스패틴 트리 알고리즘, 라우터, IP주소, IP주소 클래스 (0) | 2021.09.11 |
[네트워크]랜카드, 허브, 스위치, 브리지, 리피터 (0) | 2021.09.09 |
[네트워크]컴퓨터의 주소 (이진수), DHCP (0) | 2021.09.08 |
[네트워크]인터넷, 통신방식, 케이블, MAC (0) | 2021.09.08 |